1. 변수(Variable)란?
Python에서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입니다. 변수를 사용하면 특정 값을 이름으로 저장하고, 이후에 쉽게 참조할 수 있습니다.
# 변수 선언 및 할당
name = "Alice" # 문자열(str)
age = 25 # 정수(int)
height = 167.5 # 실수(float)
Python은 변수의 자료형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동적 타이핑 언어입니다. 즉, 변수 선언 시 int, str 같은 자료형을 명시하지 않아도 됩니다.
2. Python 기본 자료형
Python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본 자료형은 다음과 같습니다.
int | 정수형 | 10, -5, 0 |
float | 실수형 | 3.14, -0.5, 2.0 |
str | 문자열 | 'hello', "world" |
bool | 논리형 | True, False |
(1) 정수 (int) 와 실수 (float)
정수형(int)과 실수형(float)은 숫자를 표현하는 자료형입니다.
num1 = 10 # 정수형(int)
num2 = 3.14 # 실수형(float)
# 타입 확인
print(type(num1)) # <class 'int'>
print(type(num2)) # <class 'float'>
💡 type() 함수를 사용하면 변수의 자료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(2) 문자열 (str)
문자열은 문자들의 집합이며, 작은따옴표(') 또는 큰따옴표(")로 감싸서 표현합니다.
text1 = 'Hello'
text2 = "Python"
# 문자열 연산
print(text1 + " " + text2) # Hello Python
print(text1 * 3) # HelloHelloHello
문자열은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지원합니다.
s = "Python"
print(s[0]) # 'P' (첫 번째 문자)
print(s[-1]) # 'n' (마지막 문자)
print(s[1:4]) # 'yth' (부분 문자열 추출)
💡 s[0]처럼 인덱스를 사용하여 문자열의 특정 문자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.
(3) 논리형 (bool)
논리형은 True 또는 False 값을 가질 수 있으며, 조건문에서 주로 사용됩니다.
is_python_fun = True
is_sky_green = False
print(type(is_python_fun)) # <class 'bool'>
3. Python 컬렉션 자료형
Python에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한 번에 저장할 수 있는 컬렉션 자료형이 있습니다.
자료형 | 설명 | 예제 |
list | 순서가 있는 변경 가능한 배열 | [1, 2, 3] |
tuple | 순서가 있는 변경 불가능한 배열 | (1, 2, 3) |
dict | 키-값 쌍을 저장하는 자료형 | {"name": "Alice", "age": 25} |
set |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집합 | {1, 2, 3} |
(1) 리스트 (list)
리스트는 여러 값을 저장할 수 있으며, 순서가 있고(mutable) 변경 가능합니다.
numbers = [1, 2, 3, 4, 5]
numbers.append(6) # 리스트에 요소 추가
numbers.remove(3) # 특정 요소 제거
print(numbers) # [1, 2, 4, 5, 6]
💡 append(), remove() 등을 사용하여 리스트 요소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.
(2) 튜플 (tuple)
튜플은 리스트와 비슷하지만, 한 번 생성하면 수정할 수 없습니다(immutable).
tuple_data = (1, 2, 3, 4, 5)
print(tuple_data[1]) # 2
💡 리스트보다 메모리 사용량이 적고, 데이터 변경을 막아야 할 때 사용합니다.
(3) 딕셔너리 (dict)
딕셔너리는 키-값(key-value)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형입니다.
person = {"name": "Alice", "age": 25, "city": "Seoul"}
print(person["name"]) # Alice
# 값 추가 및 수정
person["job"] = "Developer" # 새 키 추가
person["age"] = 26 # 값 변경
print(person)
💡 딕셔너리는 빠른 검색이 필요할 때 유용합니다.
4. Python 자료형 변환
Python에서는 자료형을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습니다.
# 정수 → 문자열 변환
num = 100
str_num = str(num)
print(type(str_num)) # <class 'str'>
# 리스트 → 튜플 변환
list_data = [1, 2, 3]
tuple_data = tuple(list_data)
print(tuple_data) # (1, 2, 3)
# 딕셔너리 키와 값 리스트로 변환
person = {"name": "Alice", "age": 25}
keys = list(person.keys())
values = list(person.values())
print(keys) # ['name', 'age']
print(values) # ['Alice', 25]
5. 마무리
이번 글에서는 Python에서 가장 기본적인 변수와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이번 글을 마무리 하여 요약해보겠습니다.
✔ Python은 동적 타이핑 언어로 자료형을 자동으로 결정합니다.
✔ 숫자, 문자열, 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 등 다양한 자료형이 있습니다.
✔ 리스트는 변경 가능하지만, 튜플은 변경이 불가능합니다.
✔ 딕셔너리는 키-값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, 검색이 빠릅니다.
✔ 자료형 변환을 통해 리스트 → 튜플, 정수 → 문자열 변환이 가능합니다.
다음 글에서는 Python의 조건문(if문)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! 🚀
혹시나 궁금하거나 질문사항 있으면 편하게 댓글 달아주세요~ ㅎㅎ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가상환경(venv) 설정 및 사용법 (pip vs conda 비교) (0) | 2025.02.25 |
---|---|
[python] 파이썬 설치 하는 방법 (Windows 윈도우) (0) | 2023.04.01 |
[python] 파이썬 이란? (역사, 특징) (0) | 2023.03.29 |
[python] 파이썬 연재의 시작~ (0) | 2023.03.29 |
[python] map 함수 사용법, 동작원리 및 특징 (예제포함) (1) | 2023.03.28 |
댓글